Day 1 6월 28일 (토)
Digital Workflow 적용 케이스
- 다양한 임상 상황별 Digital을
적용하면 유리한 케이스 - 임플란트 보철물 관점에서 Digital Workflow 정립
- 구치부, 전치부, 완전무치악 환자를 위한
Digital WorkFlow의 적용과 그 한계점
Day 2 6월 29일 (일)
Analog VS digital
- Analog 를 적용하는 것이 더 유리한
임상적인 상황들 - 무엇이 잘못되어 보철물의 적합도가 좋지 않은가 ? : 원인과 해결책
Day 3 7월 5일 (토)
보철 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문제의
원인과 해결책
원인과 해결책
- 인상 채득 에러, 치조골 간섭 구분과
이를 피하기 위한 방법 - 적절한 접촉점 강도를 얻는 임상 워크 플로우
- Bridge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의
정확도를 높이는 노하우 - 임상 상황별 가장 정밀한 바이트 채득법
- Physical bite registration
VS Optical bite registration
Day 47월 6일 (일)
교합 조정을 최소화 하는 방법
- 대합치, 인접치 평가 요령
- 자연 치아와 임플란트 보철에서의
문제점과 해결책 -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 조정에서
반드시 지켜야 할 것
Day 5 7월 12일 (토)
전악 환자를 위한 임플란트 보철
- 환자의 진단요소와 유지 관리를 고려한
다양한 전악 치료계획 - 전악 회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 계획과
최선의 선택 -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
적절한 임플란트 개수 - 임플란트 Overdenture 임상 가이드 라인
Day 6 7월 13일 (일)
고정성 전악 임플란트 보철물의
단계별 의사결정
단계별 의사결정
- 임플란트 식립 후 적절한 임시수복이란?
- 즉시 로딩 VS early 로딩 또는 delayed 로딩
- 임플란트 레벨 인상 vs 어버트먼트 레벨 인상
- Physical bite registration
VS Optical bite registration - 수직 치수와 수평 턱 관계는 어떻게 취하는가?
- 기성 어버트먼트 VS 커스텀 어버트먼트
- 최종 수복물을 위한 임플란트 연결 방식
- 교합 방식 - 견치 유도 VS 부분 그룹 기능